레이블이 SI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SI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9년 4월 17일 금요일

이거 팔면 돈 되겠는데!

오래 전 여러 기업을 거느린 그룹들이 기가 막힌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게 됩니다.

여러 종류의 회사를 거느리고 있었고, 회사들의 전산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그 당시 여러 군소 회사들에 비하여 상당히 선진화된 MIS 시스템 등을 보유하게 되었고, 구축 과정을 통해서 경험 있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을 보유하게 됩니다.

물론 이를 구축하는데 돈을 많이 썼지요.

그러다가 문득 "이거 팔면 돈 되겠는데!"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상당히 다양한 회사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 이와 비슷한 회사가 널렸다고 생각하고 이 소프트웨어를 조금씩 수정해서 팔면 큰 투자를 하지 않고 돈을 쉽게 벌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러한 아이디어가 전세계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대형 SI회사를 탄생하게 만들었고, 우리나라의 비극적인 소프트웨어 산업구조를 초래한 시작이 됩니다.

일단 소프트웨어를 조금씩 수정하면 다른 회사도 쓸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 가장 결정적인 오류의 시작입니다. 애초에 그러한 확장성에 대한 개념도 없이 만들어진 소프트웨어가 그렇게 쉽게 다른 회사에서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 것 자체가 그 당시 얼마나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무지했는가를 보여줍니다.

그 결과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지고 사업에 대한 전문성만 보유한 SI회사들이 대한민국 소프트웨어 산업계를 좌지우지 하면서 저가 수주의 온상이 되고 수많은 유망 소프트웨어업체를 사라지게 만든 장본인이 되었습니다. 다행히 SI회사와 시장이 겹치지 않는 회사들은 살아남았죠.

SI회사들이 이것이 돈이 안된 다는 것을 일찍이 깨달았지만, 특유의 생존력을 바탕으로 변화를 거듭해서 현재의 산업구조에서 살아남는 독특한 형태로 진화했지요.

지금은 소프트웨어 업계에 SI회사의 존재가 당연시 되는 기형적인 사고가 고착이 되어서 고객들도 SI회사가 없는 세상은 상상하지도 못할 겁니다. 이미 권력화된 SI회사의 파워는 이러한 기형적인 구조를 조금씩 개선해보고자 하는 법률의 개정도 가로막는 것이 문제가 됩니다. 실력으로 산업을 이끌어서 큰 회사나 작은 회사나 서로 Win-win을 해야지 힘을 이용해서 나만 살고자 하는 자세는 결국 대한민국의 소프트웨어 산업 자체를 고사시키고 말 겁니다. 

이대로 가다간 대한만국 소프트웨어 시장의 큰 파이는 외국업체에게 넘겨주고, 말 잘 듣는 공공기업의 치다꺼리나 하는 작은 파이만 먹게 되는 날이 오게 될 것입니다.

이미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Global 경쟁에서 뒤쳐진 대한민국 소프트웨어 산업의 미래는 암울하기만 합니다. 지금도 넘치는 아이디어와 혈기를 가진 똑똑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마구 배출되고 있는데, 그들을 받아들일 소프트웨어 산업은 척박하기만 하고, 그들에게 전해줄 알짜배기 경험을 전달해줄 선배 개발자들도 그리 많지 않습니다. 그 선배들도 그렇게 별로 배우지 못했으니까요. 이제는 유능한 인재들이 소프트웨어 업계로 오려고 하지도 않습니다. 나만 살자가 아니고 다같이 죽을 수도 있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SI회사의 변화를 기대하기에는 너무 늦은 것 같습니다. 그들은 그들 자체적으로 또 살아남기 위해서 진화를 거듭할 것입니다. 다만 다같이 공멸하지 않기 위해서는 Win-win도 좀 생각해달라는 겁니다. 

작은 회사들은 스스로의 활로를 모색해야 합니다. 시장을 피해 다니거나 외국으로 가거나 해야겠지요. 어느 하나 쉬운 것이 없지만, 어쩔 수 없죠. 이미 이렇게 되어 버린 걸요.
 

2009년 2월 6일 금요일

달콤한 유혹에 중독되어 있는 고객들 (SW 저가수주)

5throck님의 "프로젝트 저가수주의 폐해"라는 글을 읽고 의견을 적어봅니다.

그리고 "이 문제를 해결할 좋은 방법은 정말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요? "라는 질문에 대한 나름 답변을 해볼까 합니다.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산업구조는 정말 기형적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대형 SI업체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고, 성공한 팩키지, 솔루션 회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고 과거에 성공했던 회사들도 그리 오래가지 못하고 쓰러져왔습니다. 그 이유야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그 많은 이유 중에서 대형 SI업체가 지배하고 있는 시장구조에 대해서 의견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외국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대형 SI업체 구조는 우리나라 고객들에 입맛에는 맞는 것 같습니다. 대충의 요구사항만 가지고 있으면 대형SI업체에서 모든 것을 다 알아서 해줍니다. 심지어는 고객의 제시해야할 요구사항도 업체에서 달 알아서 해주기 때문에 고객은 신경쓸 일이 적은 대형 SI업체를 선호하게 됩니다. 그러다보니 불확실한 요구사항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것은 일반적이고, 프로젝트 비용이 얼마나 들어갈지 알수도 없는 상황에서 입찰과 수주과 이루어지며, 이또한 저가 낙찰은 너무 흔합니다. 그 손실은 당연히 하청 업체들에게 전가가 되기 일쑤입니다. 이러한 구조하에서 많은 하청업체들은 기술개발보다 저가 용역에만 매달리게 되곤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무지한 대부분의 고객이 초래한 면이 있지만, 결국 그 피해는 프로젝트 품질의 저하로 고스란히 고객에게 다시 돌아가는 악순환이 벌어집니다. 여기서 손해를 보는 회사들은 대형SI회사들이 아니고 수많은 하청 업체와 솔루션 개발 업체들이 됩니다. 이런 업체들이 우리나라에서 장사 못해먹겠다고 외국으로 나갈려고도 해보지만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대부분이죠.

해결책은 2가지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첫째, 대형 SI업체의 해체입니다. 부정적이인 해체가 아니고, 대형 SI업체도 수익을 제대로 낼 수 있는 건설적인 구조로 변화해야 합니다. 프로젝트의 모든 것을 알아서 몽땅 해줘서 수익성이 낮은 자잘한 프로젝트와 일까지 매달리지 말고 큰 업체가 할만한 일들을 해야 합니다. 대형SI업체들은 작은 프로젝트와 업무로 인해서 대부분 손실을 보고 큰 프로젝트에 몇개에서 그 손실을 매꾸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더이상 SI라는 분야에 매달리기 보다는 IT컨설팅, IT서비스의 영역으로 포커싱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대형 SI업체도 살수 있는 길이고 이는 SI업체들이 스스로 변화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둘째, 제도적으로 더욱 보완이 되어야 합니다. 정부에서 해야 할 일이지요. 현재 분리발주법이 시행 중이지만 그 효과는 글쎄입니다. 편법이 얼마든지 가능하죠. 그리고 SW분리발주가 아닌 분석프로젝트 분할발주가 필요합니다. 현재는 대충의 요구사항을 가지고 수주를 하다보니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프로젝트가 2배로 커지기도 합니다. 특정 규모이상의 대형 프로젝트인 경우는 분석을 분리하여 프로젝트의 범위를 명확하게 하면, 전체 프로젝트의 비용이 합리적으로 나오게 됩니다. 여기에 저가입착을 어렵죠. 들어가는 비용이 뻔한 상태에서 저가 입찰은 품질을 포기하는 것이고, 이런 환경이라면 기술력이 낙찰의 중요한 요소가 되겠죠. 외국의 경우는 이미 분석 프로젝트를 분할하여 발주하는 것은 일반적입니다. 이를 제도적으로 더욱 보완해서 고객이나 업체 모두 상생의 길로 가야 할 것 같습니다.

악순환의 고리를 누가 먼저 끊을까요? 정부일까요? SI업체일까요? 수많은 중소기업들이 조금씩 바꿔나가기에는 너무나 머나먼 길일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