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2월 18일 목요일

21C 韓 SW개발자는 16C 조선 陶工 처지

나의 취미 중 하나는 도예 즉, 도자기 만들기다. 우연한 기회에 시작해서 10년을 넘게 도자기를 만들었으며 도자기 역사나 도자기 기술에 대해서도 많은 공부를 하게 되었다. 그런데 요즘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산업 환경이 조선 시대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납치되어 간 도공들이 다시 조선으로 돌아오기를 거부하고 일본에서 뿌리를 내린 것과 비슷하다. 

임진왜란 당시 어떠한 일이 일어났는지 간단히 알아보자. 그리고 역사는 되풀이 된다는데 현재 우리는 무슨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도 생각해보자. 

16세기까지 전세계에서 1천300도 이상에서 구워내야 하는 도자기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나라는 중국, 한국, 베트남 정도였고 그 중에서 도자기의 최고봉인 백자는 중국과 조선만 만들어 낼 수 있었다. 지금은 도자기가 별 것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었지만  당시에는 최고로 돈이 되는 물건이었다. 유럽의 귀족들은 중국의 도자기에 열광해서 금, 은 그릇보다 비싼 가격에 도자기가 거래되고 있었고 세계 도자기 시장은 거의 중국이 석권하고 있었다. 

임진왜란이 왜 일어 났는지는 여러가지 의견이 있지만 도자기 때문에 일본이 일부러 일으켰다는 주장도 있다. 임진왜란의 근본 목적은 조선의 도자기 제작 기술을 비롯한 여러 가지 공예 기술을 훔쳐오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일찌감치 네덜란드 등과 교역에 눈을 뜬 일본은 유럽에서의 도자기 인기를 알게 되었고 자신들의 도자기 제작 기술보다 월등히 높은 조선의 도자기 제조 기술을 가지고 싶어 했다. 그래서 임진왜란 전에 미리 첩자를 조선에 보내 조선의 도공들의 신상과 소재를 모두 파악한 후 임진왜란, 정유재란 중에 조선의 도공 거의 전부인 약 900명을 납치해 갔다는 것이다.물론 도공들만 납치해 간 것은 아니고 다른 수많은 분야의 장인들을 같이 납치해 갔지만 도자기 장인들이 핵심이었다. 

그렇게 납치해 간 도공들은 일본에서 도자기를 만들 수 있는 흙을 찾아냈고 20년만에 일본도 완벽한 도자기 제작 기술을 보유하게 되었다. 마침 중국의 내부 정세 혼란을 틈타 유럽의 도자기 시장을 석권하고 막대한 자금을 바탕으로 아시아 최대 강대국으로 발돋움 했다는 학설이다. 

그런데 임진왜란 후에는 조선은 도공들을 다시 돌려 받으려고 했지만 많은 도공들은 조선으로 돌아오기를 거부했다고 한다. 일본으로 끌려간 도공들은 조선에서보다 훨씬 나은 대접을 받았다고 한다. 조선에서는 기술은 천시하고 도공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장인들은 하층민 대접을 받았지만 일본에서는 이들을 극진히 대우를 해줬다고 한다. 땅도 주고 집도 주고 결혼도 시켜주고 마음껏 도자기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옛날부터 일본은 장인을 존경하는 전통이 있었고 자신들이 가장 높게 사는 최고의 도자기 제작 기술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존경하고 대우해주는 것은 어쩌면 당연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다보니 임진왜란 후 거의 도자기의 명맥이 끊기고 세계 예술사에서 거의 흔적을 남기지 못한 한국과는 대비되게 일본은 최고의 도자기 명문 국가가 되었고 선진국의 발판이 되었다. 역사에 만약은 없지만 도자기를 기반으로 우리나라가 18,19세기 강대국으로 발돋움 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이 얘기를 하는 이유는 임진왜란 당시의 상황이 지금과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여전히 기술자는 존경과 대우를 못 받고 그나마 대우를 받으려면 관리자가 되어야 한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의사, 공무원이 되려고 한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기회만 되면 외국으로 나가려고 한다. 개인 입장에서는 축하해줄 일이지만 그렇게 고급인력이 다 빠져나가면 우리나라는 어떻게 될까? 

하지만 지금 소프트웨어를 전공하는 대학생이 진로를 문의하면 나도 외국으로 나가라고 충고를 한다. 미래의 먹거리가 소프트웨어에만 있는 것은 아니지만 소프트웨어가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인데 개발자에 대한 인식이나 대우, 환경은 너무 열악하다. 드라마에서 잘나가는 사람들은 거의 의사, 경영자, 변호사, 검사다. 엔지니어나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주인공은 경우는 거의 없다. 사회적으로 인식이 매우 낮다는 반증이다. 

제2의 도자기 전쟁은 이미 시작되었고 핵심은 우수 두뇌 확보다. 구글이 3조원이 넘는 금액을 지불하고 네스트를 인수한 주 목적도 인재 확보다. 구글이 네스트에 지불한 금액은 1인당 100억원이 넘는다. 국가나 기업 모두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서 혈안이 되어 있지만 우리나라 인재들은 외국으로 나가고 있다. 또는 기회만 되면 외국으로 가고 싶은 엔지니어도 상당 수다. 

외국의 인재도 모셔와야 하는 마당에 우리나라의 인재들이 일하기 힘든 환경을 그대로 놔두고 있는 것은 오랫동안 뿌리깊게 자리잡은 기술자 천시와 관료 우대 인식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런 기술자를 낮게 보는 인식을 없애지 않으면 구한말에 우리나라가 겪었던 고통을 또 겪어야 할지도 모른다. 나라를 좌지우지 하는 사람들은 국내 상황에 정신을 팔려서 세계의 흐름을 놓치고 있다. 나중에 애국심에 호소해서 외국에서 일하는 우리나라의 인재들에게 들어와서 나라를 다시 일으켜 달라고 해도 돌아오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될까? 

개발자들이 우리나라를 떠나고 싶어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가 연봉의 차이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연봉이 높은 나라는 생활비 지출도 많고 세금도 많다. 더 중요한 것은 엔지니어에 대한 전문성의 인정과 사회적인 존경심이라고 생각한다. 창의적 지식 노동에 대한 이해와 좋은 개발환경도 필요하다. 개발자로 30년을 일해도 어린 관리자와 같이 일을 해도 전혀 어색하지 않고 어린 관리자도 늙은 개발자를 어려워하지 않는 문화가 필요하다.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을 오직 야근밖에 모르는 회사가 워낙 많다. 이런 회사는 사채를 끌어 쓰는 것과 같아서 갈수록 어려워진다. 이런 환경이 계속 만연한다면 우수한 개발자 인력들은 외국으로 떠나던지 소프트웨어 업계를 떠날 것이다. 이런 환경을 수수방관하면 역사는 되풀이 될 것이다.

이 글은 ZDNet Korea에 기고한 칼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