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6월 27일 토요일

소프트웨어 번역이 생각보다 훨씬 어려운 이유 (16)

이제부터 소프트웨어 국제화에서 가장 중요한 번역과 관련된 얘기를 시작하려고 한다. 번역은 다뤄야 할 주제가 광범위하므로 여러 회차를 거쳐서 다루게 될 것이다. 필자는 수십 개의 회사의 소프트웨어 국제화 방식을 조사했으며 대부분의 회사가 수많은 번역 함정에 빠져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보았다. “변역 함정”이란 소프트웨어를 번역하면서 비효율적인 방법에 쉽게 빠져서 허우적거리는 것을 말한다. 번창한 회사일수록 어려움은 더 커졌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번역 함정에 빠지지 않고 효율적인 번역을 통해서 소프트웨어 국제화를 성공할 수 있는지 공유를 할 것이다.


가상의 A사는 전세계 수십 개의 국가에서 사용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해당 서비스를 개발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수십 명에 이른다. 해당 서비스는 10개 언어로 번역이 되어서 서비스가 되고 있다.

그러다 보니 개발자는 소스코드에 번역이 필요한 메시지 하나를 추가하려고 해도 매우 복잡한 절차를 밟아야 한다. 소스코드에 “Hello”라는 메시지를 넣어야 한다고 가정해보자. A사의 개발자는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를 밟아야 한다.

1. “Hello”에 대응하는 심볼을 정한다. MSG_HELLO로 정했다.

2. 소스코드에는 TranslateMsg("MSG_HELLO")라고 번역 함수를 이용해서메시지를 입력한다. 이 단계에서 소프트웨어는 MSG_HELLO라고 출력된다.

3. 개발자들이 공유하는 엑셀 파일에 “MSG_HELLO” 항목을 추가하고 영어 칸에 “Hello”를 입력한다. 이때 엑셀 파일은 여러 개발자가 공유를 해야 하기 때문에 소스코드 관리시스템이 아니고 파일서버에 보관하고 있다.

4. 해당 엑셀 파일에는 10개 언어별 컬럼이 있는데 각 언어별로 이번 업데이트에 추가된 메시지를 10개의 엑셀파일로 추출하여 언어별 번역가에게 번역을 의뢰한다.

5. 번역이 완료된 후에 엑셀파일은 각 언어별 메시지 파일로 저장한다. (예, Korea.ini, Japan.ini)

6. 이제 소프트웨어에서는 “MSG_HELLO” 대신 “Hello”가 출력된다.


가상의 A사의 예를 들었지만 현실과 전혀 동떨어진 얘기는 아니다. 위 프로세스를 보고 별일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고 복잡하고 불편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아직 국제화된 소프트웨어를 개발해보지 못한 개발자나 한두 개 언어를 추가로 개발해본 개발자는 소프트웨어 번역의 복잡함을 과소 평가할 수도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는 지원해야 하는 언어가 많을수록 소프트웨어 규모가 클수록 개발팀의 규모가 클수록 업데이트 주기가 잦을수록 번역의복잡도는 기하급수로 증가를 한다. 

자연스러워 보이는 위 예도 이미 수많은 함정에 빠져서 매우 비효율적인 프로세스를 밟고 있는 상태다. 물론 소프트웨어가 잘 안 팔려서 사라져가고 있다면 번역의 복잡성 함정에 빠져서 문제가 되고 있다는 사실 조차 모르고 지나간다. 하지만 2,3개 지원하던 언어를 10개 이상으로 늘려서 지원하게 되고 소프트웨어가 계속 업그레이드되어서 규모가 몇배 커지고 개발자도 많이 투입이 된다면 그 때서 번역 프로세스로 인한 비효율이 눈에 띄게 커졌다가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그때는 이미 소프트웨어 번역 아키텍처를 바꾸기 어려운 상태이기 때문에 비효율을 개선하기는 매우 어려워진다. 번역은 실제 메시지가 현지 문화에 얼마나 잘 맞게 번역이 되었는지도 중요하지만 어떤 메시징 아키텍처를 사용하는지도 중요하고 번역 프로세스도 매우 중요하다.

흔히 RC 파일을 사용하기도 하고 자체적으로 제작한 메시징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INI파일이나 별도의 메시지 파일을 포맷을 만들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중간 파일로 엑셀파일을 사용하기도 하고Database를 사용하는 회사도 있다. 개발자가 번역이 필요한 메시지 하나를 소스코드에 추가하기 위해서 복잡한 절차를 밟아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복잡한 절차의 불편함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개발하는 개발자도 있는가 하면 이를 개선해보고자 여러 자동화 툴을 만들면서 노력을 했지만 쉽게 개선되지 않음을 경험하기도 한다.

앞으로 소프트웨어 번역의 원칙과 원리를 중심으로 가장 효율적으로 번역을 하는 방법을 공유하도록 하겠다.

독특한 달력을 사용하는 고집 센 나라들 (15)

미국에서 미터법을 잘 쓰지 않듯이 국제 표준이 있는데 자국만의 표준을 고집하는 나라들이 있다. 우리가 모든 나라의 문화를 다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를 비난 해서는 안된다. 다만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엄청 번거로울 뿐이다. 날짜에서도 전세계 대부분의 나라가 그레고리력을 사용하는데 그레고리력을 사용하지 않는 몇몇 나라가 있다. 물론 그레고리력과 혼용을 하기도 한다.

게다가 달력은 로케일 표준 카테고리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개발툴이나 라이브러리에서 별도로 제공하지 않는다. 개발자가 직접 제공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 한국도 19세기까지는 음력을 사용하다가 독자 연호를 거쳐 현재는 그레고리력을 쓴다. 우리나라는 국제 표준을 상당히 잘 따르는 나라 중에 하나다. 오랫동안 써왔던 면적 단위인 “평”을 못 쓰도록 법으로 금지했는데 이렇게 할 수 있는 나라는 그렇게 많지 않을 것이다. 그래도 그런 강제 표준 적용이 소프트웨어 개발에는 더 유리하다.
이렇게 전세계가 완벽하게 그레고리력으로 통일되지 못한 상황에서 소프트웨어가 그레고리력만 제공을 하면 해당 국가에서는 받아들여지기 힘들 수도 있다. 그래서 그레고리력 외에 크게 “불기”와 일본의 “연호”를 제공해야 한다. 그 외에는 여러 가지 달력이 추가로 더 있으니 소프트웨어의 성격에 따라서 추가 지원을 고려해야 한다.




먼저 “불기”를 알아보자. “불기”란 석가모니가 입적(불멸)한 해인 기원전544년을 기준으로 삼는 달력이다. “서기”는 예수의 탄생을 기준으로 삼는데 불교에서는 정반대의 기준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서 문화에 따른 생각의 차이를 엿볼 수 있다.

표준 “불기”로는 올해가 2559년이지만 태국에서는 이보다 1년 늦은 2558년이다. “불기”도 나라별로 약간 다른 것도 소프트웨어에서는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니다. 또한 태국에서는 그레고리력을 쓰는 사람들도 있기 때문에 그레고리력을 선택할 수도 있도록 해야 한다. 즉, 로케일로 달력을 결정할 수 없고 별도의 설정이 필요하다.

다음은 일본이다. 일본은 일왕에 따른 연호를 사용한다. 올해는 平成27年(헤이세이)이다. 일본 역시 그레고리력도 쓰기 때문에 둘 다 지원을 해야 한다. 일본의 연호를 고려하지 않고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게 되면 올해가 2015년이 아니고 0027년으로 처리가 될 수도 있다. 일본은 연도별로 연호가 다르기 때문에 대단히 귀찮은 변경작업을 해줘야 한다. 하지만 연호를 잘 제공하면 그만큼 일본 시장에서 소프트웨어의 품질이 올라갈 것이다.

그 외에 몇 개의 달력을 더 알아보자. 필자도 위의 달력 외에도 아래 소개하는 몇몇 달력 때문에 고생한 적이 있다.

이슬람력은 많은 이슬람 국가에서 사용하고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그레고리력과 병기를 한다. 위에서 언급한 불기와 일본의 연호는 연도만 다르고 월과 일은 그레고리력과 같다. 하지만 이슬람력은 태음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날짜가 완전히 다르다. 라마단도 이슬람력을 기준으로 한다.

이란과 아프가니스탄에서 사용하는 이란력(페르시아력)도 있다. 이는 태양력이다.

그 외에도 히브리력, 인도 국민력, 에티오피아력, 대한민국 단기, 음력, 북한의 주체연호가 있다. 대부분은 그레고리력과 병기를 한다.

어떤 달력을 지원하던지 날짜의 변환 작업과 날짜 선택기를 제공해야 한다. 그레고리력 날짜 선택기를 쓸 수 없는 달력들이 있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달력을 어디까지 제공할지는 소프트웨어의 성격과 판매하려는 지역과 전략에 따라서 매우 달라진다. 우리가 각 나라들의 문화를 다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무조건 그레고리력을 써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소프트웨어 판매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고 그렇다고 모든 달력을 제공하는 것은 배보다 배꼽이 더 클 수도 있다. 전략에 따라서 적절히 판단을 해야 한다.

날짜 표기 국제 표준은 무엇일까? (14)

지난 12회에서 국가별, 로케일별로 날짜 표기 형식이 매우 다르다는 것을 보았다. 하지만 이런 방식을 따르기만 한다고 해서 날짜 표기 형식 문제가 모두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날짜 표기 형식이 실제로 해당 국가에서 오류라고 생각할 수도 있고, 입력 시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혼동도 무시 못한다.

그래서 국제화가 잘 된 소프트웨어에서는 날짜 형식에 대해서 조금 더 고민을 해야 한다. 우선 날짜를 출력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각각 장단점이 있다.

첫 번째 지난번 12회에서 봤듯이 로케일별로 각각 다른 날짜 형식으로 출력을 하는 것이다. OS나 개발툴, 라이브러리에 따라서 그 형식이 조금씩은 다르지만 웬만큼은 현지에서 받아들여 질만한 형식을 제공한다. 장점으로는 개발자가 날짜 형식을 직접 연구하고 다루지 않기 때문에구현이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에 따라서 제공하는 포맷이 일정하지 않고 원하는 날짜 형식을 제대로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그렇게 제공한 날짜 형식에 버그가 있을 경우 개별적으로 수정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C에서는 strftime()함수를 사용하거나 QT Framework에서는 QDate::toString()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두 번째사용자가 날짜 형식을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개발자가 완벽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 포맷을 제공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하고 그 책임을 사용자에게 맡기는 것이다. 예를 들어 yyyy/MM/dd 라고 지정을 하면 2015/05/27이라고 출력을 할 것이다. 유독 월을 표시하는 M만 대문자인 이유는 분을 표시하는 m(minute)와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이 경우에도 요일과 월은 숫자가 아니라 문자로 표시를 할 수 있으므로 똑 같은 형식이라도 로케일별로 다르게 표시가 된다. 
소프트웨어에서 몇 가지 날짜 형식을 보여주고 사용자가 고르는 방법도 있고 사용자가 완전히 자유롭게 형식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고르는 방법이 구현도 편하고 좀더 안전하다. 이 방법의 장점은 개발자가 각 나라의 날짜 형식에 대해서 너무 고민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단점으로는 사용자가 뭔가 선택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사용하는 개발언어나 라이브러리에 따라서 날짜 포맷 표기법이 조금씩 다르다는 것이다.
그래서 첫 번째 방법과 두 번째 방법을 섞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세 번째국제 날짜 형식 표준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국제화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는 항상 날짜 표시 문제가 있다. 그래서 1988년도에 국제 날짜 표준 형식이 제안되었고, ISO8601이 발표되었다. ISO8601에서는 여러 가지 날짜와 시간의 표준 형식을 다루고 있다. 먼저 국제 날짜 표준 형식은 어떤 것인지 보자.
날짜는 2015-05-28과 같이 YYYY-MM-DD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연도가 뒤에 있을 경우에는 앞에 온 숫자가 월일지 일일지 헷갈리지만 연도가 맨 앞에 오면 전세게 거의 모든 사람들이 연-월-일로 인식을 한다. 물론 예외는 있을 것이다. 이런 국제 날짜 표준 형식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사용하는 형식이라서 다행이다. 
시간과 같이 표시를 할 때는 2015-05-28T09:15:52와 같이 중간에 “T”를 넣어서 표시한다. Time Zone을 포함해서 2015-05-28T09:15:52+09:00과 같이 표시하는 방법도 있다. 기간을 표시하기 위해서 우리는 흔히 ‘~’를 사용하는데 ISO8601에서는 ‘/’를 사용한다. 2015-05-28/2015-06-28과 같이 표시한다.
이렇게 국제 표준 날짜 형식을 사용하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매우 편리하다. 나라별, 로케일 별로 고민을 할 필요가 없고 이로 인한 혼란이나 버그가 거의 없다. 하지만 고집이 센 나라에서 받아들여지지 않고 버그로 보고가 될 수도 있는 단점이 존재한다.

위의 모든 경우에 입력의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국제화가 잘된 소프트웨어에서도 흔히 날짜 입력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날짜 출력은 그 나라의 문화에 알맞게 지원을 하는데 날짜 입력에서 제대로 된 형식을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도 흔하다. 또한 날짜 입력은 사용자의 실수를 무시할 수 없다. 그래서 날짜는 날짜 선택기 위젯 같은 것을 이용해서 마우스 클릭을 통해서 사용자가 날짜를 선택하게 하는 UI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물론 날짜 선택기가 그레고리력만 제공하는지 그 외의 달력도 제공하는지 이슈가 있기는 하다. 또한 날짜 선택기도 지역화를 제공해야 한다.




위에서 어떤 방식을 제공할지는 소프트웨어의 성격 및 회사의 전략에 따라서 달라질 수가 있다. 단, 일단 개발을 해 놓고 문제가 있다고 고치기 시작하면 이미 좀 늦은 것이다. 사전에 국제화 전략을 정해서 제대로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멀티유저 국제화 소프트웨어 만드는 방법 (13)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창의력의 산물이기 때문에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몇 가지 소개를 하려고 한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국제화가 잘 된 소프트웨어의 아키텍처 원칙은 다음과 같다.

“하나의 소스코드, 한번의 빌드, 하나의 팩키지”




나라별로 별도의 소스코드를 관리하고 별도로 빌드를 하거나 제품이 각각 따로 나온다면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 열배, 백배의 노력을 들여야 한다.

국제화된 소프트웨어는 크게 “싱글 로케일”과 “멀티 로케일”로 구분할 수 있다. “싱글 로케일”은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면서 하나의 로케일만 지원하는 것이다. 이런 소프트웨어는 지원하는 로케일을 바꾸려면 소프트웨어의 설정을 바꾼 후 Restart 하거나 L10n 모듈을 Reload 해야 한다. 몇몇 데스크탑 소프트웨어가 여기에 해당한다.




 위 그림처럼 어플리케이션이 시작될 때 필요한 L10n 모듈만 Load해서 하나의 로케일로만 동작하는 것이다. 이 경우 L10n 모듈은 DLL이나Shared Object 형태로 제작해서 Dynamic load를 할 수 있다. 이런 아키텍처는 복잡도가 낮고 필요한 L10n 모듈만 Load를 하기 때문에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래 그림처럼 한국인이 사용할 때는 L10n ko_KR 라이브러리만 Load를 하고 일본인이 사용할 때는 L10n ja_JP 라이브러리를 Load하면 된다. 이런 방식은 로케일을 중간에 바꾸거나 섞어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서 날짜는 한국식으로 표현을 하다가 독일인에게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서 숫자의 형식을 바꿔준다든지 하는 등의 기능은 구현할 수 없다. 소프트웨어의 성격에 알맞게 아키텍처를 선택하면 된다.

 

두번째 방식을 “멀티 로케일”을 지원하기 위한 방식이다. “멀티 로케일”은 소프트웨어가 동시에 여러 가지 로케일을 지원하는 것이다. 여러 L10n 라이브러리를 모두 Load 해 놓고 한국인이 사용할 때는 L10n ko_KR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한국인에게 알맞게 동작하고 일본인이 사용할 때는 L10n ja_JP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대부분의 서버 소프트웨어는 “멀티 로케일”지원이 필요하다. 데스크탑 소프트웨어도 요구사항에 따라서 멀티 로케일지원이 필요하다. 사용자가 접속할 때마다 필요한 L10n 라이브러리를 Load하는 것은 부담이 심하기 때문에 모두 Load를 해 놓는 것이다. 
 

“멀티 로케일”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는 한 화면에서 로케일을 바꿔가면서 동작할 수도 있고 기능별로 다른 로케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날짜는 한국식, 숫자는 독일식, 통화는 미국식으로 동작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런 소프트웨어는 메모리를 많이 쓰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는 것은 요즘 세상에 단점으로 볼 수도 없다. 장점으로는 소프트웨어 국제화 지원에 제한이 없다는 것이다. 

그럼 이런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어떤 아키텍처를 사용해야 할까? 수많은 방법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 한가지 방법은 아래와 같이 클래스 상속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L10n Base Class에서 필요한 국제화 함수들을 정의하고 기본 기능을 구현한 후에 각 로케일별 서브클래스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로케일별로 각기 다른 기능은 서브클래스에서 각각 구현하면 된다. 그리고 접속한 사용자에 따라서 필요한 로케일의 서브클래스를 호출하면 된다. 이때 i18n 라이브러리는 적절한 분기를관장하게 된다.


 이 방법 외에도 Function Pointer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고 방법은 무궁무진할 것이다. 소프트웨어의 성격에 맞게 창의력을 발휘해서 가장 알맞은 방법을 선택하면 될 것이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아키텍처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한번 정하면 쉽게 바꾸기 어렵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의 전략, 비전 그리고 회사의 목표와 방향도 알아야 소프트웨어의 아키텍처를 잘 정할 수 있다. 국제화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는 회사의 국제화 전략을 잘 이해해야 한다. 

목표와 비전을 모르고 후다닥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는 십리도 못가서 발병이 날 것 이다. 이런 소프트웨어는 아니 만드니 만도 못한 경우가 허다하다.

01/02/03는 며칠일까? (12)

오늘은 날짜 표기에 대해서 다뤄보자. 날짜 표기 형식도 나라마다 다르다. 그런데 많은 소프트웨어들이 국가별, 로케일별로 다른 날짜 표기 형식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아서 특정 국가에서 불만이 커지거나 잘못 사용되는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심지어는 날짜 표기를 제대로 고려한 소프트웨어에서도 입력의 복잡함과 모호함으로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 국제화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개발자라면 날짜 형식을 다루는 지식과 노하우는 어느 정도 보유해야 한다.







우선 01/02/03은 무엇으로 보이는가? 물론 이런 날짜 형식은 애초에 모호함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꼭 날짜를 이렇게 표현한다면 어떻게 보일까? 100%는 아니지만 미국, 호주, 한국 사람들은 각각 다른 날짜로 읽는 것이 일반적이다.

미국 사람들은 2003년 1월 2일로 볼 것이다. 물론 미국에는 워낙 많은 민족이 있어서 다르게 볼 수도 있지만 대체로 그렇다는 것이다. 호주 사람들은 2003년 2월 1일로 볼 것이다. 하지만 알다시피 한국사람들은2001년 2월 3일로 볼 것이다. 2002년으로 읽는 나라가 없다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추가로 그레고리력을 사용하느냐 다른 달력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른 부분도 있다. 참고로 북한은 주체연호를 사용하고 일본과 태국도 다른 달력을 혼용한다. 이 주제는 따로 다루겠다.




그럼 국가별, 로케일별로 날짜 형식은 어떻게 되면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이를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 알아보자.

우리가 날짜를 표시하는 방법은 수십 가지가 넘는다. 연도만해도 두자리 또는 네자리로 사용하고 요일도 “월” 또는 “월요일”이라고 쓴다. 영어에서는 월을 표기할 때 “Aug” 또는 “August”로 표기를 한다. 시간까지 같이 표시할지 여부와 시간의 표시 형식까지 합하면 크게 나눠도 열 가지는 넘는다. 소프트웨어를 설계할 때는 소프트웨어의 성격에 따라서지원해야 할 날짜 형식을 표준화해야 한다. 개발자들이 멋대로 여러 가지 날짜 형식을 사용하게 되면 관리가 제대로 안된다. 나중에 버그가 발견되면 수많은 소스코드를 고쳐야 한다. 표준화된 날짜 함수를 제공해서 개발자에게 제공해야 하고 개발자들은 정해진 날짜 함수만 사용해야 한다.

날짜 함수는 입력, 출력 두가지 형태의 함수를 제공해야 한다. 입력은 문자열을 날짜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고 출력은 날짜 데이터를 문자열로 변환하는 함수다. 예를 들어 StrToDate(), DateToStr() 이런 함수를 만들면 된다. 날짜의 형식은 가장 먼저 긴 형식과 짧은 형식을 제공한다. 이는 소프트웨어마다 다르니 개발자가 정해야 한다.



국가별 로케일별로 서로 다른 날짜 형식만 살펴보도록 하자. 먼저 긴 날짜 형식은 어떻게 될까? 우선 로케일별 국가 이름을 소개한다.

ar_SA : 사우디아라비아
de_DE : 독일
en_US : 미국
es_ES : 스페인
fr_FR : 프랑스
id_ID : 인도네시아
it_IT : 이탈리아
ja_JP : 일본
ko_KR : 대한민국
pl_PL : 폴란드
pt_PT : 포르투갈
ru_RU : 러시아
vi_VN : 베트남
zh_CN : 중국
zh_TW : 타이완
de_LI : 리히텐슈타인
th_TH : 태국

로케일(국가)별 긴 날짜 형식은 다음과 같다.

ar_SA : "الاثنين، ١٨ مايو، ٢٠١٥"
de_DE : "Montag, 18. Mai 2015"
en_US : "Monday, May 18, 2015"
es_ES : "lunes 18 de mayo de 2015"
fr_FR : "lundi 18 mai 2015"
id_ID : "Senin, 18 Mei 2015"
it_IT : "lunedì 18 maggio 2015"
ja_JP : "2015年5月18日月曜日"
ko_KR : "2015년 5월 18일 월요일"
pl_PL : "poniedziałek, 18 maja 2015"
pt_PT : "Segunda-feira, 18 de Maio de 2015"
ru_RU : "понедельник, 18 мая 2015 г."
vi_VN : "Thứ hai, ngày 18 tháng năm năm 2015"
zh_CN : "2015年5月18日星期一"
zh_TW : "2015年5月18日星期一"
de_LI : "Montag, 18. Mai 2015"
th_TH : "วันจันทร์ที่ 18 พฤษภาคม 2015"

그럼 짧은 날짜 형식은 국가별, 로케일별로 어떻게 출력될까? 

ar_SA : "١٨‏/٥‏/٢٠١٥"
de_DE : "18.05.15"
en_US : "5/18/15"
es_ES : "18/05/15"
fr_FR : "18/05/15"
id_ID : "18/05/15"
it_IT : "18/05/15"
ja_JP : "2015/05/18"
ko_KR : "15. 5. 18."
pl_PL : "18.05.2015"
pt_PT : "18/05/15"
ru_RU : "18.05.15"
vi_VN : "18/05/2015"
zh_CN : "15-5-18"
zh_TW : "15/5/18"
de_LI : "18.05.15"
th_TH : "18/5/2015"

물론 위 날짜 형식 모두다 정답이 아닐 수도 있다. 필자가 특정 Framework을 사용해서 출력된 결과를 표시한 것뿐이다. 해당 Framework의 국제화 개발팀에서 적절하지 않는 날짜 형식을 구현해 놓았을 수도 있다. 특히, 한국의 짧은 날짜 형식은 마음에 들지 않는다. 하지만 일단 Framework이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날짜 형식을 믿고 개발해야 한다. 개발자가 국가별, 로케일별 날짜 포맷을 직접 연구할 수는 없다. 추후 버그가 보고 될 경우 수정은 할 수 있겠다.

필자가 테스트를 해본 결과 같은 C언어를 쓴다고 하더라도 C언어에서 제공하는 strftime()함수만 하더라도 Microsoft C와 gcc가 제공하는 날짜 형식이 다르다. 이는 OS나 개발툴 개발사마다 날짜 형식을 미묘하게 다르게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크로스 플랫폼 개발자는 더욱 유념해서 개발을 해야 한다.

위에서 예로든 두가지 형식 외에도 여러 가지 중간 길이의 날짜 형식이 필요하다. 이런 형식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발자가 날짜 형식에 대해서 조금 더 연구를 해야 한다. 기본 날짜 함수 제공은 쉽지만 여러 가지 형식을 제대로 제공하려면 점점 어려워진다. 소프트웨어 성격에 알맞게 제공할 날짜 포맷을 연구해서 국제화 라이브러리에 추가를 해야 한다.

다음에는 날짜를 다루는 방법을 조금 더 보겠다.

바이트 순서와 BOM이 이렇게 복잡해진 이유 (11)

오늘은 BOM(Byte Order Mark)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BOM은 바이트 순서를 나타내는 표식이고 바이트 순서뿐만 아니라 이 파일이 어떤 인코딩을 사용했는지도 나타낸다. BOM이 생겨난 사연에 대해서 알아보자. 

개발자라면 모두 알고 있겠지만 CPU마다 바이트 순서가 다르다. 바이트 순서를 선택할 수 있는 CPU도 있다. 0x1234는 0x12, 0x34라고 표시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이런 순서를 빅 엔디언(Big-endian)이라고 부르며 초창기 대부분의 CPU는 이런 아키텍처를 사용했다. 하지만 인텔에서 x86 CPU를 만들면서 적용한 아키텍처는 이와는 정반대다. 0x1234를 0x34, 0x12라고 표시를 했다. 이를 리틀 엔디언(little-endian)이라고 한다. 

인텔이 x86 CPU에 이런 아키텍처를 적용한 이유는 덧셈을 조금 더 단순하게 해서 덧셈 회로를 조금이라도 작게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숫자를 반대로 하면 앞쪽 바이트부터 더해서 순서대로 자리 올림을 하면 된다. 우리가 현실에서 덧셈을 할 때 1의 자리부터 거꾸로 더해나가는 것이 더 간단하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숫자를 반대로 표시하는 것이 왜 덧셈을 할 때 간단하지 알 수 있다. 지금은 CPU가 한 바이트씩 더하지를 않기 때문에 별 차이도 없어져버렸다.





이렇게 인텔은 주로 리틀 엔디언 아키텍처를 사용하고 대부분은 빅 엔디언을 사용하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PC는 거의 인텔 계열 CPU를 사용하기 때문이 어떻게 보면 리틀 엔디언 환경에 접할 가능성이 더 높다. 

이렇게 세상에는 두 가지 바이트 순서가 존재하게 되어서 파일을 저장한 후에 다른 컴퓨터에서 읽으면 제대로 읽혀지지 않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도 문제가 발생했다. 그래서 바이트 순서 규칙을 하나로 정해놓고 자료를 전달한 후에 현재 시스템과 반대로 된 바이트 순서 데이터를 읽을 때는 바이트 순서를 다시 반대로 바꿔줘야 했다. 

개발자들이 흔히 하는 실수는 바이트 순서를 현재의 시스템에서 바이트 순서를 보고 짐작하여 메모리를 직접 접근하도록 개발을 해서 다른 시스템에서 동작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시스템간에 파일을 교환할 때바이트 순서를 고려하지 않는 것이다. 소프트웨어를 설계할 때 신경을 써야 할 부분이다.

이런 현상은 인코딩과 관련해서도 똑같이 일어난다. 현재 데이터의 문자가 어떤 인코딩을 사용하고 있는지도 헷갈리는 것이다. 앞부분 몇 바이트를 보니 ASCII 같은데 실제로는 UTF-8 일수도 있고 EUC-KR 문서일 수도 있다.





그래서 문서나 데이터는 자신이 사용한 인코딩과 바이트 순서를 스스로 알려주는 것이 좋다. 이를 Self-Identification이라고 한다. 이런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표준을 정한 것을 BOM이라고 한다. BOM은 파일의 맨 앞에 붙으며 기존의 정상적인 문자에서는 나올 수 없는 문자로 구성이 되어 있다. 그럼 BOM은 어떤 것이 있는지 보자.

EF BB BF : UTF-8
FE FF : UTF-16 빅 엔디언
FF FE : UTF-16 리틀 엔디언
00 00 FE FF : UTF-32 빅 엔디언
FF FE 00 00 : UTF-32 리틀 엔디언

UTF-16과 UTF-32는 엔디언에 따라서 글자 내의 바이트 순서가 반대이다. UTF-8은 바이트 순서가 고정이므로 BOM이 한가지 밖에 없다. 여기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UTF-8의 BOM이다. 가장 널이 쓰이는 유니코드 파일의 인코딩이 UTF-8인데 UTF-8의 BOM은 개발자를 여간 괴롭히는 것이 아니다. 

UTF-8의 BOM은 BOM 자체가 문제라기 보다는 시스템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BOM를 사용하기도 하고 사용하지 않기도 한다. 또는 두 경우를 모두 지원하기도 한다. 그 조합이 워낙 많아서 헷갈리곤 한다. UTF-8 문서에는 BOM이 없어도 대부분의 경우 UTF-8 문서인지 알 수가 있다. 그래서인지 Unix나 Linux 시스템에서는 BOM이 없는 UTF-8을 이용한다. 반대로 마이크로소프트는 철저히 BOM을 사용한다. 





Unix나 Linux에서 또는 오픈소스 개발툴에서는 소스코드에 BOM이 있어서 제대로 읽지 못하기도 하고 HTML 파일에 BOM이 있을 경우 웹서버에 따라서 BOM이 웹브라우져 화면에 출력되기도 한다. 특히, 윈도우의 노트패드는 UTF-8 파일에 BOM을 붙여버려서 종종 곤란한 일을 겪게 된다. 이런 혼란을 문제없이 해결하려면 노하우가 꽤 필요하다.

나는 개발을 할 때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라면 BOM이 없는 UTF-8 파일을 표준으로 삼고 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BOM을 붙이는 것이 수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언제 BOM이 필요하고 어디서는 BOM이 없어야 되는지 잘 알고 있어야 한다.

UTF-8에 BOM을 붙여야 하느냐, 필요 없느냐는 논쟁은 쉽게 결론이 나지 않을 것이다. 개발자가 상황에 알맞게 알아서 BOM을 붙이기도 제거하기도 해야 한다. 그래서 개발용 편집기는 BOM을 자유롭게 다룰 수 있어야 한다. 나는 개발언어나 환경에 따라서 수많은 편집기를 사용하지만 대표적인 텍스트 편집기로는 Notepad++를 사용한다. 수많은 인코딩과 BOM을 자유롭게 다루고 변환할 수 있다.

윈도우에 내장된 Notepad는 사용하지 않을 것을 추천한다. 본의 아니게 BOM이 붙어서 고생을 할 수가 있다.

추가로 빅 엔디언과 리틀 엔디언이란 용어의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자.걸리버여행기를 보면 달걀 깨는 법으로 대립 중인 두 나라가 나온다. 달걀을 뾰족한 곳을 깨느냐 뭉툭한 곳을 깨느냐 논쟁을 하며 나중에는 전쟁도 하는데 여기서 뭉툭한 곳을 깨는 사람을 빅 엔디언이라고 하고 뾰족한 곳을 깨는 사람을 리틀 엔디언이라고 한다. 

소프트웨어 세계도 전쟁은 하지 않았지만 두 표준이 쉽게 통일되지 않고 있다.

개발자를 조삼모사식 원숭이 취급하기

소프트웨어 회사에서 성과 위주의 치열한 내부 경쟁 강요는 단기적인 성과는 낼 수 있을지 몰라도 개발 문화와 기업 문화를 망친다. 그 결과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혁신을 못하고 경쟁력이 약화된다.

많은 회사의 경영진은 성과에 따른 차등 보상을 통해서 개발자들의 의욕을 고취하려고 한다. 명백한 차등 보상을 통해서 너도 높은 성과를 내서 보상을 받으라고 독려하곤 한다. 이를 위해서 기본 연봉을 줄이고 성과급을 높임으로써 보상이 진정한 보상이 아니라 보상을 받지 못하면 평균 이하의 대접을 받게 되기도 한다.

개발자들이 받아야 할 적절한 연봉을 제대로 못 받고 선심 쓰듯 지급하는 성과급을 통해서 개발자들의 의욕을 고취하려는 방법은 조삼모사와 크게 다를 바 없다.

하지만 이런 방법은 탄광 같은 육체노동에서는 통할지 몰라도 정신노동에서는 잘 통하지 않는다. 특히 지식 산업인 소프트웨어는 단기 성과를 위해서 쉽게 미래를 갉아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성과 드라이브는 약이 아니라 독이 되는 경우가 많다. 소프트웨어는 8시간 일하는 사람이 10시간 일한다고 성과가 더 나아 지는 것은 아니다. 그렇게 생각한다면 소프트웨어 개발을 육체 노동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평가의 불공정성이다. 평가의 기준을 무엇으로 삼을 것인가? 매출? 코딩 라인 수? 버그 해결 개수? 무엇으로 따져도 불공평하다.

매출은 사실 개발자들의 노력의 정도를 말해주지 않는다. 매출을 기준으로 보상을 한다면 개발자는 운에 따라서 연봉이 달라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단기적인 매출에 미치는 개발자 노력의 비중은 크지 않다. 분야에 따라서 천차만별이지만 환율이나 경쟁사 관계가 매출에 더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억지로 단기 매출에 집착하다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망치기도 한다. 소프트웨어의 어려운 점은 속으로 썩어도 당장 눈에 잘 안 보이는 것이다.

단기적인 특수 과제를 성공했을 때 보상하는 것도 불공평하기는 마찬가지다. 약간 선물식의 보상은 큰 문제는 없어도 단기 프로젝트 성공 팀에게 큰 보상을 하는 것은 다른 개발자들에게 상대적인 박탈감을 가져온다. 열심히 해도 운에 따라서 보상을 받지 못할 바에는 슬슬 어려운 일은 피하고 자기 시간을 가지며 여유롭게 생활하려고 한다. 개발 문화와 회사에 기여는 생각하지 않고 폭탄만 피하자는 무사안일이 판칠 수도 있다.

성과에 대해서 보상을 노골적으로 하면 보통 성과 위주로 일을 한다. 이게 무슨 잘못인가 생각하겠지만 소프트웨어는 지식산업이기 때문에 큰 문제다. 예를 들어서 매출에 비례해서 평가를 한다면 매출이 많은 부서로 옮기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버그를 많이 고치는 것을 평가 기준으로 삼으면 일부러 사소한 버그를 많이 만들어내거나 버그 보고를 더 많이 하고 버그도 근본 원인을 해결하기 보다는 대충 증상만 잡을 수가 있다. 버그를 하나라도 더 고치기 위해서 애를 쓴다. 거짓말이 아니다. 개발자가 나쁜 사람이 이라서가 아니라 이런 정책에 길들여진 결과다.

개발자의 활동은 지극히 창의적인 활동이라서 성과 드라이브로 밀어 붙이면 당장은 성과가 좋은 것 같아도 장기적으로 대부분 더 손해가 난다. 소스코드를 잘 정리해야 하는데 당장은 문제가 안되니 엉망진창으로 놔두던가, 소스코드에 주석을 달 시간이 아까워서 주석을 안단다. 문서도 엉터리로 작성하고 당장에 단기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활동에만 집중한다.

그렇다고 성과가 중요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성과가 중요하다는 것은 개발자들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너무 성과로만 밀어 붙이고 이에 대해서 큰 차별적인 보상을 하면 더 큰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소스코드가 망가지고 개발문화를 해치며 보상에서 소외된 90%의 사기에 저하된다. 보상을 받은 사람도 다음해에는 보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몇몇 회사는 개발에게 원래 100을 주는 것이 적당한데 70만 주고 30은 성과에 따라서 보상하겠다고 한다. 이는 영업직에게나 적당한 정책이다.
인생이 운칠기삼이라고 해서 운이 매우 중요하고 보상을 받는 팀이나 회사에 속하는 것은 운이 좋아서라고 생각할 수는 있지만 개발자들을 성과에 따른 보상으로 움직이는 꼭두각시로 만들면 회사의 소프트웨어 개발역량은 점점 나빠질 것이다.

경영자들은 개발자들이 조삼모사 원숭이처럼 다룰 생각을 하면 안된다. 개발자를 움직이는 것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연봉이다. 70주고 잘하면 30을 준다고 하지 말고 100을 모두 연봉으로 주는 것이 좋다.

개발자는 보통 일 자체를 즐긴다. 즐길 때 성과가 가장 높다. 그렇다고 개발자들이 노는 것은 아니다. 개발자들도 성과를 내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개발문화, 공유, 문서, 성과 사이에서 균형을 잘 잡아야 장기적으로 성과가 증가한다. 단기적인 성과를 절대로 무시할 수 없지만 그만큼 장기적으로 개발문화를 잘 발전시키는 것도 중요하다.